반응형 주식투자공부92 PBR PBR은 시가총액을 자기자본 순자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PBR의 값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 할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는 네이버 및 다음등 포털에서 바로 회사별 PBR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순자산은 자본금에 자본, 이익잉여금 등을 합친것입니다. PBR과 자기자본 관계 당기순이익의 증가는 이익잉여금 증가하게 됩니다. 자본금에는 이익잉여금도 포함이 되어있으므로 분자의 숫자가 커지므로 PBR이 줄어든다. 그러면 PBR이 1보다 낮을수록 좋은 회사라고 보아야 하는걸까요? PBR 1보다 높으면 결국 주식 즉 시가 총액이 커지는것이므로 주식의 가치가 자기자본 보다 훨씬 크게 평가되고 있다는 얘기이니 실제 과평가가 되었을수도 있다는 얘기가 되는군요. 현대나 삼성이나 포항제철이나 다들 제조업을 하므로 공장도 많고 건물도.. 2024. 2. 22.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이란 판매금액 중 외상값의 비율이라고 합니다. 매출 채권은 외상매출금, 어음이 있고 매출채권이 늘어난다는 애기는 매출채권회전율이 떨어짐을 의미 합니다. 매출채권회전율이 떨어지는 것은 매출 채권 회수에 문제가 있다는 뜻으로 이것은 현금 흐름에 문제 발생을 의미 하므로 투자에서 신중하게 모니터링 해야 하는 항목입니다.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액 / 매출채권 어음이나 외상매출권등은 남이 그 회사로 부터 빌린돈이라고 보아야 하는데 우리가 투자하는 회사가 받아야할 돈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예전에 국가부도에서 그릇 만드는 중소기업 사장님이 큰돈 벌 납품 기회가 와서 미도백화점에 납품 하기로하고 현금성 자산으로 돈을 받는게 아닌 어음으로 받았다가 IMF가 터지가 자금.. 2024. 2. 21. 지분율 투자를 할때 회사 주식의 지분을 누가 얼마나 갖고 있는지 잘 살펴 보아야 한다고 합니다. 해당 정보는 지분공시를 하게 되므로 파악이 가능합니다. 최대 주주와, 특수관계, 발행주식의 5%을 보유 하고 있는 주주, 및 회사임원등이 주식 변동사항에 대해서 공시를 해야 하는 사람들입니다. 지분율 & 지분율에 따른 공시 기준 최대주주, 특수관계자들의 주식보유수, 5% 이상의 주식 보유 주주와 회사임원들에 대한 정보를 5년간 분석 정리 하면서 확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5%이상 보유자들의 경우 보유 상태의 주식수가 1%이상 변동이 발생하면 5일이내에 변경 공시를 해야합니다. 5% 미만일경우는 공시 의무가 없다고 합니다. 주요 주주 즉 지분을 10%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는 주요의사결정이나 업무에 직접적.. 2024. 2. 20. 시가배당률 배당을 주는 회사들의 주식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 하시는 분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번에 서점에 갔다가 주식 투자 책들중에 배당으로만 수익을 내시는분 책이 있어서 관심있게 봤는데요. 저도 배당을 잘 주는 회사들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할까 하다 보니 시가배당률에 대해서 정리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배당 배당을 많이 주는 회사는 당기순이익이 큰 회사로 사내유보율도 높을겁니다. 쌈지돈이 즉 현금이 회사내에 많이 쌓여 있는 경우이겠죠. 정말 우량한 회사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런 회사는 초보도 투자하기에 적합한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배당은 이익 범위내에서 횟수에 제한이 없이 현금 또는 주식으로 하는것으로 저도 삼성전자 애플을 통해서 배당이 들어오면 그걸 다시 삼성 하고 애플 주식을 사는 방식으로 재투자로 더 .. 2024. 2. 20. 이전 1 2 3 4 5 6 7 8 ··· 23 다음 반응형